우연주(b.1997)는 관계맺음에 뒤따르는 양가적이고 입체적인 감정선들에 주목한다. 한 존재가 다른 존재의 세계에 들어선 순간, 서로는 시간에 걸쳐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상흔이 된다. 사랑과 상실은 마치 한 쌍 같아, 누군가를 위해 마음의 자리를 넓힐 때 같은 크기의 슬픔이 쏟아지는 것이 보인다. 행복의 영원을 바라며 흘리는 눈물은 순간의 필멸을 반증하면서도, 그리운 존재들은 우리 안에 영원히 영원히 사는 것만 같다. 이러한 필연적 모순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삶은 언제나 누구와, 무엇들과 맺어온 관계의 집합으로 설명되며 그들을 통해 매번 이전과는 다른 존재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언제나 사랑하고 잃어 가는 것을 멈출 수 없다. 언제까지나 있음과 없음 사이의, 미처 언어도 되지 못하는 것들이 피부를 스쳐가는 것을 느낀다.
작가는 관계 속에 속한 존재와 그에게 던져져 오는 외부세계의 부산물들을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 있는 풍경화로 담아내고 있다. 그림 속에 드러나는 정동은 언제나 양가적이고 모호하다. 우리가 사는 세계가 평면적이지 않고 그 안의 우리 역시 평면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진실을 평면 안에 재현함으로서 어제의 우울을 도약으로 삼고 내일의 반짝임을 기대하려 한다.
Yeonju Woo (b.1997) focuses on the ambivalent and multi-dimensional emotional contours that follow the act of forming relationships. The moment one being enters another’s world, they become an indelible scar on each other's timelines. Love and loss appear as an inseparable pair—when we make room in our hearts for someone, sorrow of equal measure often pours in. Tears shed in the hope of eternal happiness paradoxically affirm the mortality of a moment. And yet, the ones we long for seem to live on within us—forever and ever. Despite this inevitable contradiction, our lives are always defined by the relationships we've formed—with people, with things. Through them, we become something new, something different from who we were before. And so, we cannot stop loving and losing. We continuously sense things—neither fully present nor completely absent, things that barely brush the skin, too elusive even for language.
Woo captures these in-between states—beings within relationships and the residue of the outer world that confronts them— through landscapes that hover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The affective tone that surfaces in her work is always ambivalent and ambiguous. By representing the truth that our world is not flat—and that we, too, are not flat beings—on a two-dimensional surface, she aims to turn yesterday’s sorrow into a leap, and hold out hope for tomorrow’s glimmer.
작가노트
어릴 적, 동화 속의 ‘그래서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같은 해피엔딩이 유달리 지루하고 무책임하게 느껴졌다.
분명 주인공의 삶 안에는 꿈결 같은 행복이 존재하겠지만 그에 상당하는 파랑도 가득할 것이기 때문에.
삶과 세계는 1차원이 아니고, 단면에 그려진 크로키가 아니다. 이름 있는 존재가 되어 숨쉬는 우리는 1초의, 1분의, 1년만큼의, 수억 개의
인과 -나의 몫이든 그렇지 않든-의 루프 안에서 뱅글뱅글, 정신 없이 돌고 있다. 인과는 즉 기쁨이며 슬픔이며 즐거움이며 또 분노이다.
혹은 단어조차 없는 무언가이다. 언젠가 태풍의 눈에 도달하게 되면, 모든 상념이 멈추게 될까?
누군가의 무엇의 다정함이 내게 있으며
누군가와의 무엇과의 상실도 내게 있다.
누군가와의, 무엇, 무엇도, 내게 있다.
기쁨은 곧 맞이할 슬픔과 다른 말이 아니며 헤어짐은 곧 또다른 만남 같다. 하지만 얄궂게도 앉은 자리에 차게 오래 머무르는 것은,
머물렀던 무엇보다는 그 무엇이 비워진 자리이기도 하다. 평생 매 순간을 상실하는 만큼 무언가를 얻게 된다는 말이 무색하게 때가 되면
나는 나를 지나쳐 사라진 이름들을 손을 접어 세어 보곤 한다. 실은, 그들은 사라지지 않았다. 어깨를 기대고 있던 이름을 새삼스레
되뇌이며 손가락을 하나 즈음 접어 올린다. 실은, 이들 역시 머물러 있지 않다. 그렇게 나의 삶은 그렇게 가끔은 펴지지도 접히지도 않은
구부정한 이름들로 가득하다. 열 개의 손가락으로는 미처 다 셀 수 없는 존재의 스펙트럼들.
따지자면 나의 영혼은 쓰고 지워 번진 연필 자국이 남긴 회색 빛을 띌 것이다.
그것은 쓰다 만 편지,
눈에 덮인 발자국,
덧그린 그림
같은 것들.
완벽하지 못한 것들. 눈에 보이지만 곧 부서질 것 같은 것들.
그야말로 불완전한 존재인, ‘나'의 사랑하고 잃어가는 과정들에 대한 것들이다.
Artist’s Note
As a child, the fairy-tale phrase “and they lived happily ever after” always felt oddly boring and irresponsible to me.
Surely, within the protagonist’s life, there would be dreamlike happiness—but there would also be just as much sorrow.
Life and the world are not one-dimensional. They are not quick sketches drawn in a single stroke.
To be a named, breathing being is to spin endlessly—whether for a second, a minute, a year—inside loops of countless
causes and effects, some our own and others not. Cause and effect mean joy, sorrow, delight, and also rage. Or perhaps
things that don’t even have names.
When we one day reach the eye of the storm, will all thought come to a stop?
The kindness of someone’s something is within me.
The loss of someone or something is also within me.
All those whos and whats—they are with me.
Joy is no different from the sorrow that inevitably follows. Farewells are simply preludes to new encounters.
And yet, strangely, what lingers longest in the place we sat is not what was there, but what has been emptied out.
Though they say we gain something for every moment we lose, I often find myself folding my fingers one by one, counting
the names that have passed me by.
In truth, they never disappeared. I whisper the names that once leaned against my shoulder and lift a finger again. But
truthfully, they too have not stayed.
And so, my life is often filled with names—bent, crumpled, neither open nor closed.
Spectrums of presence that ten fingers can never fully count.
If I had to describe it, I’d say my soul carries the gray hue of pencil marks—written, erased, and smudged.
Like a half-written letter,
Footprints buried in snow,
Or a redrawn image.
Imperfect things. Things that are visible, yet seem ready to shatter.
These are about the processes of loving and losing that belong to me—
A fundamentally incomplete being.
CV
b. 1997
학력사항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조형미술전공, 미디어학부 졸업
주요 단체전 및 아트페어
2024 Pieces Of Us, 도잉아트갤러리, 서울.
2024 D.D.D, 청년공간 길이음, 서울.
2024 나, 슬러시, 너, 스페이스 미라주, 서울.
2024 지하의 행성들, 인스팅터스, 서울.
2024 선 위의 여성들, 어티피컬갤러리, 서울.
2023 아시아프 청년작가 미술축제, 홍익대학교, 서울.
2022 CICA 아트 페스티벌, CICA 갤러리, 김포.
2022 예술하라 아트페어, 충주문화회관 관아갤러리, 충주.
2022 K-아트페어,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 서울.
2022 빈칸아트페어, 성수동 LAYER 57, 서울.
2021 Merry Messy Fantasy, 고려대학교박물관, 서울.
2019 씨앗, 대산갤러리, 서울.
2018 탈탈탈, ‘탈’, 라움트, 서울.
CV (EN)
b. 1997
Education
B.A. in Fine Art and Media Studies, Korea University
Selected Group Exhibitions & Art Fairs
2024 Pieces Of Us , Doing Art Gallery, Seoul
2024 D.D.D , Youth Space Gillyeum, Seoul
2024 Me, Slush, You , Space Mirage, Seoul
2024 Planets Underground , Instinctus, Seoul
2024 Women on the Line , Atypical Gallery, Seoul
2023 ASIAF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Art Festival) , Hongik University, Seoul
2022 CICA Art Festival , CICA Museum, Gimpo
2022 Yesulhara Art Fair , Gwana Gallery, Chungju Cultural Center, Chungju
2022 K-Art Fair , InterContinental Seoul COEX, Seoul
2022 Binkan Art Fair , Layer 57, Seongsu-dong, Seoul
2021 Merry Messy Fantasy , Korea University Museum, Seoul
2019 Seed , Daesan Gallery, Seoul
2018 Tal Tal Tal, 'Tal' , Raumt, Seoul
우연주(b.1997)는 관계맺음에 뒤따르는 양가적이고 입체적인 감정선들에 주목한다. 한 존재가 다른 존재의 세계에 들어선 순간, 서로는 시간에 걸쳐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상흔이 된다. 사랑과 상실은 마치 한 쌍 같아, 누군가를 위해 마음의 자리를 넓힐 때 같은 크기의 슬픔이 쏟아지는 것이 보인다. 행복의 영원을 바라며 흘리는 눈물은 순간의 필멸을 반증하면서도, 그리운 존재들은 우리 안에 영원히 영원히 사는 것만 같다. 이러한 필연적 모순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삶은 언제나 누구와, 무엇들과 맺어온 관계의 집합으로 설명되며 그들을 통해 매번 이전과는 다른 존재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언제나 사랑하고 잃어 가는 것을 멈출 수 없다. 언제까지나 있음과 없음 사이의, 미처 언어도 되지 못하는 것들이 피부를 스쳐가는 것을 느낀다.
작가는 관계 속에 속한 존재와 그에게 던져져 오는 외부세계의 부산물들을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 있는 풍경화로 담아내고 있다. 그림 속에 드러나는 정동은 언제나 양가적이고 모호하다. 우리가 사는 세계가 평면적이지 않고 그 안의 우리 역시 평면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진실을 평면 안에 재현함으로서 어제의 우울을 도약으로 삼고 내일의 반짝임을 기대하려 한다.
Yeonju Woo (b.1997) focuses on the ambivalent and multi-dimensional emotional contours that follow the act of forming relationships. The moment one being enters another’s world, they become an indelible scar on each other's timelines. Love and loss appear as an inseparable pair—when we make room in our hearts for someone, sorrow of equal measure often pours in. Tears shed in the hope of eternal happiness paradoxically affirm the mortality of a moment. And yet, the ones we long for seem to live on within us—forever and ever. Despite this inevitable contradiction, our lives are always defined by the relationships we've formed—with people, with things. Through them, we become something new, something different from who we were before. And so, we cannot stop loving and losing. We continuously sense things—neither fully present nor completely absent, things that barely brush the skin, too elusive even for language.
Woo captures these in-between states—beings within relationships and the residue of the outer world that confronts them— through landscapes that hover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The affective tone that surfaces in her work is always ambivalent and ambiguous. By representing the truth that our world is not flat—and that we, too, are not flat beings—on a two-dimensional surface, she aims to turn yesterday’s sorrow into a leap, and hold out hope for tomorrow’s glimmer.
작가노트
어릴 적, 동화 속의 ‘그래서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같은 해피엔딩이 유달리 지루하고 무책임하게 느껴졌다.
분명 주인공의 삶 안에는 꿈결 같은 행복이 존재하겠지만 그에 상당하는 파랑도 가득할 것이기 때문에.
삶과 세계는 1차원이 아니고, 단면에 그려진 크로키가 아니다. 이름 있는 존재가 되어 숨쉬는 우리는 1초의, 1분의, 1년만큼의, 수억 개의
인과 -나의 몫이든 그렇지 않든-의 루프 안에서 뱅글뱅글, 정신 없이 돌고 있다. 인과는 즉 기쁨이며 슬픔이며 즐거움이며 또 분노이다.
혹은 단어조차 없는 무언가이다. 언젠가 태풍의 눈에 도달하게 되면, 모든 상념이 멈추게 될까?
누군가의 무엇의 다정함이 내게 있으며
누군가와의 무엇과의 상실도 내게 있다.
누군가와의, 무엇, 무엇도, 내게 있다.
기쁨은 곧 맞이할 슬픔과 다른 말이 아니며 헤어짐은 곧 또다른 만남 같다. 하지만 얄궂게도 앉은 자리에 차게 오래 머무르는 것은,
머물렀던 무엇보다는 그 무엇이 비워진 자리이기도 하다. 평생 매 순간을 상실하는 만큼 무언가를 얻게 된다는 말이 무색하게 때가 되면
나는 나를 지나쳐 사라진 이름들을 손을 접어 세어 보곤 한다. 실은, 그들은 사라지지 않았다. 어깨를 기대고 있던 이름을 새삼스레
되뇌이며 손가락을 하나 즈음 접어 올린다. 실은, 이들 역시 머물러 있지 않다. 그렇게 나의 삶은 그렇게 가끔은 펴지지도 접히지도 않은
구부정한 이름들로 가득하다. 열 개의 손가락으로는 미처 다 셀 수 없는 존재의 스펙트럼들.
따지자면 나의 영혼은 쓰고 지워 번진 연필 자국이 남긴 회색 빛을 띌 것이다.
그것은 쓰다 만 편지,
눈에 덮인 발자국,
덧그린 그림
같은 것들.
완벽하지 못한 것들. 눈에 보이지만 곧 부서질 것 같은 것들.
그야말로 불완전한 존재인, ‘나'의 사랑하고 잃어가는 과정들에 대한 것들이다.
Artist’s Note
As a child, the fairy-tale phrase “and they lived happily ever after” always felt oddly boring and irresponsible to me.
Surely, within the protagonist’s life, there would be dreamlike happiness—but there would also be just as much sorrow.
Life and the world are not one-dimensional. They are not quick sketches drawn in a single stroke.
To be a named, breathing being is to spin endlessly—whether for a second, a minute, a year—inside loops of countless
causes and effects, some our own and others not. Cause and effect mean joy, sorrow, delight, and also rage. Or perhaps
things that don’t even have names.
When we one day reach the eye of the storm, will all thought come to a stop?
The kindness of someone’s something is within me.
The loss of someone or something is also within me.
All those whos and whats—they are with me.
Joy is no different from the sorrow that inevitably follows. Farewells are simply preludes to new encounters.
And yet, strangely, what lingers longest in the place we sat is not what was there, but what has been emptied out.
Though they say we gain something for every moment we lose, I often find myself folding my fingers one by one, counting
the names that have passed me by.
In truth, they never disappeared. I whisper the names that once leaned against my shoulder and lift a finger again. But
truthfully, they too have not stayed.
And so, my life is often filled with names—bent, crumpled, neither open nor closed.
Spectrums of presence that ten fingers can never fully count.
If I had to describe it, I’d say my soul carries the gray hue of pencil marks—written, erased, and smudged.
Like a half-written letter,
Footprints buried in snow,
Or a redrawn image.
Imperfect things. Things that are visible, yet seem ready to shatter.
These are about the processes of loving and losing that belong to me—
A fundamentally incomplete being.
CV
b. 1997
학력사항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조형미술전공, 미디어학부 졸업
주요 단체전 및 아트페어
2024 Pieces Of Us, 도잉아트갤러리, 서울.
2024 D.D.D, 청년공간 길이음, 서울.
2024 나, 슬러시, 너, 스페이스 미라주, 서울.
2024 지하의 행성들, 인스팅터스, 서울.
2024 선 위의 여성들, 어티피컬갤러리, 서울.
2023 아시아프 청년작가 미술축제, 홍익대학교, 서울.
2022 CICA 아트 페스티벌, CICA 갤러리, 김포.
2022 예술하라 아트페어, 충주문화회관 관아갤러리, 충주.
2022 K-아트페어,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 서울.
2022 빈칸아트페어, 성수동 LAYER 57, 서울.
2021 Merry Messy Fantasy, 고려대학교박물관, 서울.
2019 씨앗, 대산갤러리, 서울.
2018 탈탈탈, ‘탈’, 라움트, 서울.
CV (EN)
b. 1997
Education
B.A. in Fine Art and Media Studies, Korea University
Selected Group Exhibitions & Art Fairs
2024 Pieces Of Us , Doing Art Gallery, Seoul
2024 D.D.D , Youth Space Gillyeum, Seoul
2024 Me, Slush, You , Space Mirage, Seoul
2024 Planets Underground , Instinctus, Seoul
2024 Women on the Line , Atypical Gallery, Seoul
2023 ASIAF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Art Festival) , Hongik University, Seoul
2022 CICA Art Festival , CICA Museum, Gimpo
2022 Yesulhara Art Fair , Gwana Gallery, Chungju Cultural Center, Chungju
2022 K-Art Fair , InterContinental Seoul COEX, Seoul
2022 Binkan Art Fair , Layer 57, Seongsu-dong, Seoul
2021 Merry Messy Fantasy , Korea University Museum, Seoul
2019 Seed , Daesan Gallery, Seoul
2018 Tal Tal Tal, 'Tal' , Raumt, Seoul